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주식을 한다면 한 번정도는 들어봤을 경제용어 중 아주아주 기초적인 용어들에 관하여 정리하겠습니다!
경제용어 정리 시리즈는 정리하나당 10개의 단어들로 구성하여 저희가 주식을하면 들어보았을 단어들과 전문용어들 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선물이란?
먼저 선물입니다. 선물은 미래의 일정한 시기에 현물을 받거나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현재 계약을 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6개월 뒤 주식이 비싸질 거 같을 때 선물 거래로 주식을 현재의 가격으로 사서 미래에 높아진 주식을 받을 때 선물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선물 거래 중 선물환 거래란 미래의 일정시기에 달러를 받거나 넘겨주는 조건으로 미래에 받을 달러를 현재 환율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율 변동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ESG(Environment, Social and Goverment)투자란?
다음은 ESG투자입니다. 작년 주식장에서 굉장히 많이 나왔던 이야기인데요.
ESG투자란 기업의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 사회, 정부 등의 비재무적인 요소를 충분히 반영하여 투자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테슬라도 이 ESG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치가 많이 높아진 전기차 회사입니다. 미래에는 결국 환경을 위해 전부 전기차로 대체될텐데 현재 전세계의 전기차 침투율은 10%정도이고 남은 전세계 자동차 시장의 파이가 전기차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되어 크게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소경제를 위해 수소차나 수소전지를 작년에 많이 투자했습니다.
3. 공매도(Short Stock Selling)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어 해당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하락할 시 싼 값에 다시 사서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이득을 취하는 투자입니다.
비트코인을 하시면 이거는 롱이다! 이거는 숏이다! 이런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롱은 주가가 상승하는 것에 배팅 숏은 주가가 하락하는 것에 배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4.뱅크런(Bankrun)
뱅크런(Bankrun)은 경제가 악화되어 금융시장이 악화되고 은행의 예금 지급상태에 대한 불신이 생긴 고객들이 대규모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은행은 은행에 지급준비율 만큼의 현금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대출을 하여 이득을 취합니다. 그런데 예금을 맡긴 모든 고객들이 은행에 돈을 찾게되면 은행은 예금 지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파산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형태는 문화상품권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문화상품권의 경우 5000원어치의 문화상품권을 현금 4900원이나 이보다 싼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이럴경우 문화상품권을 생산하는 기업의 수익구조는 문화상품권을 대부분의 사람이 바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자금을 운용하여 이득을 취하는 구조입니다. 만약 전국에 모든 사람이 동시적으로 문화상품권을 사용한다면 문화상품권을 생산하는 기업도 파산할 수 있습니다.
5.마진 콜(Margin Call)
마진 콜(Margin Call)이란 선물 계약의 예치금이나 펀드의 투자 원금의 손실이 발생한 경우 이를 보전하라는 요구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6.ETF(Exchange-traded Fund)
ETF(Exchange-traded Fund)란 지수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주식입니다.
우리나라에는 2002년에 도입되었고 인덱스 펀드와는 다르게 일반 주식처럼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상품입니다. 우리나라에 상장된 ETF중 미국 주식을 모은 지수펀드에는 대표적으로 Tiger 미국 S&P500과 KINDEX 미국 나스닥 100이 있습니다.
7.다우존스지수
미국의 다우존스가 만든 지수로 지수중에서 가장 오래된 지수입니다. 대표적인 주식 종목 30개를 대상으로 산술 평균한 지수이며, 미국 주식시장의 동향을 알려주는 지수로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다우존스지수에 가입된 기업으로는 2015년에 애플이 다우존스에 신규 편입되었고, 저희가 잘 아는 맥도날드, Visa, 코카콜라,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습니다.
8.콜옵션(Call Option)과 풋옵션(Put Option)
먼저 옵션(Option)이란 미래 일정한 기간 내에 특정 상품을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 중 콜옵션(Call Option)이란 특정 자산을 일정한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이고, 풋옵션(Put Option)이란 특정 자산을 미래 일정한 가격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9.FAANG 과 MAGA
FAANG이란 2010년대 빅테크 기업들인 Facebook(현 메타),Apple,Amazon,Netflix,Google의 약자로 2010년대에는 미국 주식을 이끌어가는 중요 거대 IT기업을 의미합니다.
현재는 Facebook(현 메타)의 저성장 및 둔화, Netflix의 구독자 감소로 인한 주가 폭락으로 인하여 FANNG의 시대가 가고 MAGA의 시대가 왔다고 합니다.
MAGA란 Microsoft,Apple,Google,Amazon의 약자로 현재 미국 주식을 이끌어가는 빅테크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10.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는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할 경우 주식 매매를 일정 시간 중단하는 제도로, 일종의 증시 안정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부족한 점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경제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표-GDP 완전 정리! GDP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는가!- 실질 GDP vs 명목 GDP, GDP 디플레이터 란?, 잠재 GDP, GDP 갭 (32) | 2022.10.13 |
---|---|
환율 개념(1)-무엇이 환율을 변하게 할까? 환율의 변동 요인 (32) | 2022.09.21 |
경제지표 중 고용지표의 의미-고용지표가 좋은데 시장에는 왜 악재일까? (2) | 2022.09.18 |
양적완화, 테이퍼링, 양적긴축이란 무엇일까? (2) | 2022.09.02 |
잭슨홀 미팅 - 금요일 주식시장의 하락 (0) | 2022.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