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오늘은 미국주식을 투자하신다면 한번 쯤 생각하게 될 환율에 관련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현재 환율은 2020.9.21일 기준 1395원이며 역사적인 달러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참고로 환율이란 국가 간 화폐의 교환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외화에 대한 가격을 얼마나 지불해야 하는 지 알 수 있는 가격입니다.
환율의 결정지는 것은 기본적으로 외환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입니다. 모든 시장에서 가격은 수요와 공급이 결정을 짓듯이 환율 역시 외환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이 그 값을 결정합니다. 수요나 공급 또는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변할 시 환율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환율을 변하게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선호의 변화
첫번째로 환율의 변화요인은 선호의 변화입니다. 외국산 제품의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변화하면 해당 국가의 통화에 대한 선호도도 변화하여 환율이 변동합니다.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테슬라에 대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급증하면 테슬라의 수요가 급증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테슬라에 대한 수입이 급증하고 테슬라를 수입하기위하여 외화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환율은 상승하게됩니다. (수요곡선의 오른쪽 이동)
2.국가 간 상대 소득의 변화
경제에서 소비는 소득에 비례하여 증가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한 국가의 소득이 다른 국가의 소득에 비해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 자국의 상품 뿐만 아니라 수입품에 대한 소비역시 증가할 것입니다.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소득이 미국에 비해 빨리 증가했다고 가정하면 우리나라에서 미국 상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입니다. 미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는 다시 미국산 제품에 대한 수입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외환시장에서 외화의 수요가 증가하여 환율은 상승합니다. (수요곡선의 오른쪽 이동)
3.국가 간 상대 인플레이션율의 변화
인플레이션은 한 국가 경제의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는 화폐 가치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율이 더 높은 국가의 경우 화폐 가치가 더 많이 하락한 것을 의미하고 이는 환율의 변동요인이 됩니다.
예를들어 보겠습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8.3%,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은 0%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미국의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진 한국의 제품들을 소비하고 싶어할 것입니다. 이는 외화의 공급의 증가로 이어지고 환율은 하락하게 됩니다.(공급곡선의 오른쪽 이동)
인플레이션 관련해서 궁금하면 저의 예전 포스팅인 인플레이션을 참고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 20대의 경제일기 (tistory.com)
4.국가 간 상대 이자율의 변화
마지막으로 국가 간 상대 이자율의 변화입니다.
바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미국의 이자율 상승이 다른 국가보다 높다고 가정하면 다른 국가는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주식이나 채권을 구입하기 위해 외환시장에서 외화의 수요가 증가하여 환율은 상승하게됩니다.
이와 관련한 와타나베 부인이라는 용어도 있습니다!
와타나베 부인이란 엔저시대에 저금리 엔화로 고금리 국가의 금융상품에 투자해 재테크하는 주부들을 가리키는 말로, 외환 거래에 나서는 일본 투자자들을 총칭합니다!
현재 환율상승의 요인은 많지만 첫번째로는 달러는 다른 통화에 비해서는 안전자산이고 현재 경기침체가 예상되어 달러로 돈이 모이는 것 두번째로는 4.국가 간 상대 이자율의 변화에 따른 환율 상승을 이유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CPI보다 중요해진 지표 - 고용지표,실업율 (12) | 2022.12.31 |
---|---|
경제지표-GDP 완전 정리! GDP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는가!- 실질 GDP vs 명목 GDP, GDP 디플레이터 란?, 잠재 GDP, GDP 갭 (32) | 2022.10.13 |
경제용어 정리(1)-선물,ESG,공매도,뱅크런,마진콜,ETF,다우존스지수,콜옵션과 풋옵션,FAANG,MAGA (14) | 2022.09.20 |
경제지표 중 고용지표의 의미-고용지표가 좋은데 시장에는 왜 악재일까? (2) | 2022.09.18 |
양적완화, 테이퍼링, 양적긴축이란 무엇일까? (2) | 2022.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