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11월 CPI 7.7% - 나스닥 급등 및 반도체 주식의 급등

by 20대의 경제일기 2022. 11. 11.

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11월 CPI 7.7%, 근원 CPI 6.3%


11월 10일 10시 30분(현지시간)에 드디어 11월 CPI발표가 있었습니다.

위 사진에서 알 수 있겠지만 월가에서는 11월에 CPI는 8.0%, 근원 CPI는 6.5%를 예상하면서 물가가 별로 잡히지 않을 것을 예상을 했습니다.

하지만 11월 CPI는 7.7%, 근원 CPI도 6.3%가 나오면서 나스닥이 급등하기 시작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입장에서는 부채의 비용이 증가하고 주식의 경우 적금이 더 매력적이게 되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빠져서 주식의 하락요인입니다.

FOMC 파월의장의 경우 최근의 연설에서 물가가 안 잡혀서 기존의 예정보다 금리를 더 올리고 더 길게 유지한다고 하여 나스닥이 급락을 하였는데 물가가 잡힌다면 시장을 보면서 금리를 올리겠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CPI가 7.7%로 근원 CPI가 6.3%로 물가가 잡히는 모습을 보여주니 시장의 급등의 이유가 되었습니다.


나스닥의 경우 7.3% 폭등을 하였고 조정을 많이 받았던 기업들도 크게 상승했습니다.

특히 조정을 더 많이 받았던 반도체 섹터는 14%상승을 하였고 반도체 레버리지 3배인 SOXL의 경우 하루에 30.7%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미국 시장은 결국 우상향한다.


미국 시장은 돈의 가치의 하락에 따라서 결국 우상향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미국시장의 하락에 배팅하는 것으로 돈을 버는 일은 진짜 극소수만이 가능한 정답이며 자신이 100번 중에 99번을 맞춰도 마지막 1번을 틀리면 크게 돈을 못 법니다.

달러 가치의 하락에 관해서는 저의 첫 포스팅인 돈은 빚이다를 참고해주세요!

2022.08.23 - [경제개념] - 돈은 빚이다

돈은 빚이다

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첫 경제개념 글로 무엇을 써야할까? 엄청 고민을 하다가 제가 처음 들었던 경제강의인 EBS 1편 돈은 빚이다에 관하여 글을 써보기로 했습니다. 여러분은 돈하

20-economy.tistory.com


간만에 급등장인 만큼 좋은 하루가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