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오늘은 알파고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만든 알파스타, 알파폴드, 알파코드, Now Casting 에 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알파고에 관해서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2.11.08 - [매매일지/구글(GOOGL) 알파벳 A] - 구글의 투자 포인트 - AI 시대의 시작 딥마인드의 알파고
구글의 투자 포인트 - AI 시대의 시작 딥마인드의 알파고
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오늘은 주가가 많이 떨어져서 매력적인 가격이된 구글의 투자 포인트 딥마인드에 관하여 재미있게 포스팅하겠습니다! 딥마인드에 관해서는 2개의 포스팅을
20-economy.tistory.com

불완전 정보 게임의 정복
바둑의 경우 완전 정보 게임입니다.
게임을 하는 사람 모두가 게임의 오픈된 상태를 알고 진행을 하는 게임을 완전 정보 게임이라고 하고 이런면에서 체스 바둑은 완전 정보 게임의 끝판왕입니다.
바둑을 정복했기에 알파고는 불완전 정보 게임(게임 상태의 일부만 알 수 있음)인 스타크래프트에 도전합니다.
스타크래프트는 자신의 맵과 유닛이 있는 곳에만 시야가 있기에 상대가 어떠한 수를 선택하는 지 몰라 완전 정보 게임보다 훨씬 인공지능이 상대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러나 2018년 알파스타와 프로게이머 MaNA, TLO가 경기를 하게 되었는데 결과는 10:0으로 알파스타의 완승이였습니다.
사람들이 대부분 인공지능이니 인간 이상 수준의 APM(클릭수)으로 이겼겠지?라 생각하는데 인공지능의 APM을 인간 수준으로 낮춰 오히려 분당 APM은 인간보다 알파스타가 더 낮았습니다.

의학발달의 새로운 시대의 도래: 알파폴드의 단백질 구조 예측
알파폴드는 2018년 12월 멕시코에서 열린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인 (CASP)에 참여했습니다.
여기서 알파폴드는 "특별히 골치아픈 과제"에서 모든 참가자를 격파했습니다.
"특별히 골치아픈 과제"란 생명을 이루는 기본적인 분자인 단백질을 3D로 예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물의 기구는 단백질로 이루어지며 단백질의 형태가 그 기능을 담당하기에 단백질의 접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한다면 인간은 과학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고 그것을 알파폴드가 해냈습니다.

현재는 알파폴드2까지 나왔으며 알파폴드2는 이전에는 몰랐던 25만개의 단백질 구조를 밝혔으며 이를 1억
3000만개까지 업데이트하는 것이 올해의 목표입니다.
또한 코로나때 알파폴드2는 코로나19의 유전정보를 공개하자마자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단백질의 구조를 알면 신약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기에 딥마인드는 현재 신약 개발사인 아이소모픽 랩스도 설립한 상태입니다.

다음으로는 알파코드입니다.
딥마인드에서 발표한 코딩하는 AI로 프로그래밍 경쟁 사이트 Codeforces에서 상위54%라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물론 아직 정상급 인간들보다는 못하는 코딩실력이고 실용화를 하기에는 엄청 세밀한 조건을 입력해야해서 실용화도 힘들다고 평가를 받지만 인간의 영역이라고만 여겨졌던 코딩에서 상위54%를 할 정도로 AI의 코딩의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예전에 바둑에서도 AI는 인간은 능가할 수 없다고 사람들은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알파고가 등장을 했던 거 처럼 지금은 보통 인간 수준의 코딩이더라도 나중에는 인간의 수준을 능가한 코딩을 알파코드는 보여줄 수 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Now Casting입니다.
Now Casting은 기상을 예보하는 인공지능으로 현재 90분 이내의 강수를 영국에서 정확하게 맞췄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기상예보는 수치계산법으로 기온, 온도, 습수, 지형 등의 많은 수치들을 슈퍼컴퓨터가 계산하여 일기예보를 맞추는 방식이였습니다.
하지만 Now Casting은 복잡한 수학식으로 계산을 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영국의 기상 레이더 자료를 학습하여 현재 하늘의 기상 상태를 보고 예측을 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이전에는 없었던 방식이며 수치계산법보다 훨씬 정확하여 전문가들 10명 중 9명이 이 방식을 선택하였다고 합니다.
Now Casting은 이제 나아가 전 세계의 기상 레이더 자료를 연구하여 전 세계의 정확한 강수를 예측하는 것이 목표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구글의 딥마인드에 관하여 포스팅했습니다.
Google의 딥마인드는 2020년 기준 적자에서 흑자로 바뀌면서 745억 정도의 성과를 냈습니다.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기에 다양한 분야에서 딥러닝을 통해 AI를 적용할 수 있는 기업입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CPI가 좋게 나오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매매일지 > 구글(GOOGL) 알파벳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2025년 1분기 실적발표 - 구글의 어닝서프라이즈, 검색 광고는 아직 강세다 (1) | 2025.04.25 |
---|---|
구글 1분기 실적발표 - 무난했던 실적과 구글의 AI에 대한 포부 (23) | 2023.04.30 |
구글 4분기 실적발표 - 계속되는 어닝미스.. 전년대비 증가한 매출 (14) | 2023.02.07 |
구글의 투자 포인트 - AI 시대의 시작 딥마인드의 알파고 (6) | 2022.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