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파월 연설에서 매파적인 발언을 했으나 평소와 같은 발언으로 시장이 상승
10일(현지시간)으로 스웨덴 릭스뱅크가 주최한 심포지엄이 있었고 여기에는 파월을 포함한 여러 경제 전문가들이 나왔습니다.
파월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해서는 인기 없는 선택을 해야한다."라는 매파적인 발언을 하였지만 시장이 잠시 주춤하더니 그대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유는 지금까지 늘 하던 발언이였고 시장은 이미 이를 반영하여 충분히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장은 이미 파월의 이러한 발언은 반영을 하였고 FOMC 금리인상에서도 0.25%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Fed Watch 2023년 9월, 11월을 살펴보면 9월까지 5.00%의 금리를 예상하고 11월에는 금리를 인하하는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이제 1-2번의 금리인상만 하고나면 더 이상의 금리인상 없이 11월에 금리인하를 시작하는 것이고 투자자들은 모두 이 시나리오를 예상하고 주식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또한 5.00%까지만 인상을 한다면 이는 FOMC 점도표에서 나왔던 중간값인 5.1%보다 낮기 때문에 저번에 형성했던 바닥보다 낮아질 요인이 현재로서는 없습니다.
2022.12.18 - [경제뉴스] - 12월 FOMC - 금리인상 0.5% 였으나 12월 점도표는 부정적
12월 FOMC - 금리인상 0.5% 였으나 12월 점도표는 부정적
안녕하세요! 20대의 경제일기입니다. 0.5%인상은 예정대로 였으나... 높은 점도표와 매파적인 FOMC의원들 2022년의 마지막 FOMC와 금리결정이 12.15(목) 04:00(현지시간)에 결정되었습니다. 결과는 0.5%인
20-economy.tistory.com

또한 현재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11월, 12월의 발표된 CPI가 너무 좋게 나왔기 때문에 이번 CPI도 예측은 6.5%이지만 이보다 낮은 CPI를 투자자들은 기대하고 있고 이미 가격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JP Morgan의 CEO 다이먼의 말처럼 금리가 5%와 6%일 확률이 각각 50%입니다.
만약 6%가 될 확률이 높아지면 시장은 다시 한번 저점으로 가겠지만 5%라면 시장은 이제 상승할 요인만 남게됩니다.
오늘도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나오는 CPI가 좋게 나왔으면 좋겠고 발표전에 주식을 또 조금 모아볼 생각입니다!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 근원 PCE 하락 및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 - 나스닥 급등 중!!! (19) | 2023.01.28 |
---|---|
12월 CPI 발표 - 딱 예측만큼 오른 물가 (20) | 2023.01.13 |
미국의 견고한 고용강세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및 실업률 (22) | 2023.01.10 |
미국 노동부 11월 JOLTs 발표 - 여전히 강한 고용지표 (15) | 2023.01.06 |
2023년 1월 1주차 경제뉴스 - CPI보다 중요한 미국 실업률이 나오는 주 (17) | 2023.01.01 |
댓글